본문 바로가기

Lifehack

유대교, 기독교, 카톨릭, 이슬람교, 개신교의 시작과 의미

BC 2000: 이스라엘의 시작 (아브라함)

 

BC 586: 유대교의 시작

- 이스라엘이 남과 북으로 분열됨

- 바벨로니아의 의해 남유다 멸망하고 포로로 잡혀감

- 바벨로니아에서 그들만의 새로운 종교(유대교)가 시작됨

- 성전 중심의 종교가 율법 중심의 종교(유대교)로 탈바꿈됨 (이유: 남유다 사람들은 자신이 멸망한 이유를 율법이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판단함)

- 성인 남성 10명 이상이 되면 시나고그(회당)을 만들어 율법을 연구/교육함.

- 메시아 사상(영웅적 메시아: 인간)이 발전했는데, 유대인에게 메시아의 의미는 포로 생활에서 자신을 해방시키고 나아가서 온 세상의 정의와 평화를 가져다 줄 존재(민족적 의미)임.

 

AC 1C: 기독교의 시작 - 이스라엘 북부인 갈릴리에서 "예수 메시아 사역"이 시작됨

- 메시아 예수님의 존재는 민족적 의미가 아니라 보편적 의미(신적 메시아)임. 보편적 의미의 메시아는 인류를 죄에서 구원해서 하나님과 화해시킬 수 있는 존재임.

- 유대인에게 신적 메시아는 예수님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유일신 사상인 "나 외에 다른 우상을 섬기지 마라" 라는 율법을 위배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예수님의 존재를 받아들이기 못 함.

- 기독교의 기독의 의미는 "그리스도"이며 기독교는 포괄적, 종교적 개념이며, 로마카톨릭, 개신교는 종파적 개념임. 하지만, 통상적으로 기독교는 개신교를 지칭하고 천주교는 로마 카톨릭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됨.

 

AC 313: 로마 카톨릭의 시작

- 기독교의 종교 자유를 허용하는 밀리노 칙령(콘스탄디누스)을 시작으로 로마 제국 내에서 가장 유력한 종교로 급성장함.

- 니케아와 콘스탄틴노플에서 열린 종교회의를 통해 카톨릭(=보편의 의미) 용어가 사용되며, 국가 종교로 시작됨.

- 국가 종교(제국의 종교) 특성 상, 성령과 믿음을 강조하면서 자유로운 특성을 가졌던 종교적 특색에서 변화되어 교황(베드로의 계승자) 중심의 성직 제도를 구성하여 중앙 집권제로 개편함.

- 추후 로마 카톨릭은 부패해 가고 타락해 감. 성당 건축을 위해 면죄부까지 파는 행위를 함. 

-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가 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알리는 95개조의 반박물을 비텐베르크의 교회 정문에 붙이면서 종교개혁 운동이 시작됨.

 

AC 4C: 이슬람교의 시작

- 무하메드를 중심으로 이슬람교가 시작됨. 알라(= 그 신)는 하나님을 지칭하며, 하나님이 구약시대에 모세를, 신약시대에 예수님을 예언자로 보냈음을 주장함.

- 마지막 예언자로 무하메드를 하나님께서 보냈고, 기존의 성경은 사람의 의해 변형되어 인정할 수 없으며 천사 가브리엘을 무하메드에게 하나님이 보내서 610년부터 약 22년 간 말씀을 전해서 "꾸란"을 기록하게 했다고 주장함.

 

AC 1517: 개신교의 시작

-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가 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알리는 95개조의 반박물을 비텐베르크의 교회 정문에 붙이면서 종교개혁 운동이 시작됨.

- 초대교회 중심의 가치를 기준으로 개신교가 탄생함.

 

참고자료:

(34) 유대교, 기독교, 이슬람교의 발달 과정을 역사 이야기로 정리해 봤습니다 (feat.천주교, 개신교의 차이점) - YouTube